표 3. | Table 3. 실현 위치, 과제, 성별, 세대에 따른 평균 휴지 길이(단위: ms)와 다중 회귀 분석 결과(β, 예측값; t, t값) | Mean duration (ms) of whole pauses for each place of pauses, speech style, gender and generation and statistical results from mixed effect regression model (β, estimated value; t, t score)

분류 소분류 평균 휴지 길이 (±표준 편차) β t
실현 위치*** 발화 내 526(±356) –149.69 –12.19
발화 말 698(±389)
과제*** 낭독 발화 523(±273) –120.62 –6.53
자유 발화 577(±387)
성별*** 남성 604(±399) 64.82 3.507
여성 531(±337)
세대 청년 551(±347) –13.69 0.74
장년 587(±396)
p<0.001.